오늘에 새기는 부활의 의미

“죽음에서 새 생명으로 거듭남”

크리스찬투데이 | 기사입력 2003/04/16 [00:00]

오늘에 새기는 부활의 의미

“죽음에서 새 생명으로 거듭남”

크리스찬투데이 | 입력 : 2003/04/16 [00:00]
예수님께서 장사된 지 사흘만에 부활하심으로 부활의 첫 열매가 되셨고, 성도들의 부활을 보증하셨다. 그렇다면 부활한 육신은 어떤 모습일까.

예수님의 부활하신 모습과 성경을 통해 어느 정도 살펴볼 수 있다.

첫째, 부활한 육신은 살과 뼈를 가졌으며, 음식을 먹을 수 있다. “내 손과 발을 보고 나인 줄 알라 또 나를 만져 보라 영은 살과 뼈가 없으되 너희 보는 바와 같이 나는 있느니라”(눅 24:39), “이에 구운 생선 한 토막을 드리매 받으사 그 앞에서 잡수시더라”(눅24:42-43). 무덤을 찾아왔던 여자들은 예수님의 발을 붙잡고 경배했다. 부활하신 예수님은 제자들이 보는 앞에서 음식을 잡수셨다. 예수님은 승천하실 때에도 육적인 몸을 버리지 않았다.

둘째, 부활한 육신은 현재 우리가 가지고 있는 육체와 깊은 연관성이 있지만, 동일하지는 않다. “이 말을 하고 뒤로 돌이켜 예수의 서신 것을 보나 예수신 줄 알지 못하더라”(요 20:14)

부활하신 예수님은 의심하는 제자들에게 못자국을 보이시며 손가락을 내밀어 창으로 찔렸던 옆구리 상처를 만져보라고 말씀하셨다. 그러나 막달라 마리아가 부활하신 예수님을 보고도 동산지기로 생각한 일이나(요20:15), 다락방을 찾아오신 예수님을 제자들이 영으로 생각할 정도로(눅 24:37), 부활하신 예수님의 모습은 변해있었다.

셋째, 부활한 육신은 시간과 공간의 제한을 받지 아니한다. “… 제자들이 유대인들을 두려워하여 모인 곳에 문들을 닫았더니 예수께서 오사 가운데 서서 가라사대 너희에게 평강이 있을지어다”(요 20:19). 부활하신 예수님은 닫힌 방안에 문을 열지 않고 들어 가셨으며, 동행하던 일행 중에서 갑자기 사라지기도 하셨다.

넷째, 부활한 육신은 온전하고 신령하며 영광스러운 모습이다. “죽은 자의 부활도 이와같으니 썩을 것으로 심고 썩지 아니할 것으로 다시 살며 욕된 것으로 심고 영광스러운 것으로 다시 살며 약한 것으로 심고 강한 것으로 다시 살며 육의 몸으로 심고 신령한 몸으로 다시 사나니 육의 몸이 있은즉 또 신령한 몸이 있느니라”(고전 15:42-44). 부활한 육신은 늙거나 병들거나 죽지 않을 것이다.

또 예수님은 부활 후의 영광스런 모습을 미리 보여주셨는데 우리는 이것을 변화산 사건이라 부른다. “저희 앞에서 변형되사 그 얼굴이 해같이 빛나며 옷이 빛과 같이 희어졌더라”(마 17:2).

부활절 유래

부활절을 뜻하는 영어‘이스터’(Easter)는 유럽의 튜튼족이 숭배한 봄과 새벽의 여신 ‘Eastre’ 에서 유래됐다. 이 여신의 축제는 해마다 춘분에 열렸다.

부활절의 원래 명칭은 유월절을 뜻하는 히브리말인 파스카(Pascha) 였다.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과 부활이 유대인의 절기인 유월절과 같은 시기에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었다. 주님의 부활은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새로운 유월절, 즉 죽음의 노예 상태로부터의 해방을 이루었다는 의미를 부여했다. 이스터가 일반적인 명칭이 되기 전에는‘주님의 부활절’또는‘부활의 유월절’로 불리어졌다.

유럽의 기독교인들은 이스터 여신의 축제가 열리는 같은 시기에 부활절인 파스카를 경축했다. 그 후 기독교인들은 파스카 축제를 이스터라고 부르게 됐다. 파스카와 이스터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과 봄, 빛의 영광등 의미가 일치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초대교회의 부활절인 파스카는 거룩한 주간으로 8일 동안 지켜졌다. 세례받은 성도들은 부활절 예배에 모두 참석해야 했다. 원래 부활절은 부활절에서 오순절까지가 한 절기였지만 나중에 부활절, 승천절, 오순절로 나누어졌다.

부활절은 왜 매년 바뀔까

초대교회부터 3세기까지 부활절의 날자에 대한 대립이 동방교회(로마교구를 중심으로동쪽)와 서방교회 사이에 있었다. 동방교회에서는 유대인들이 유월절을 계산하는 방법에 따라 부활절을 음력으로 결정했다. 그러나 서방교회들은 부활절이 언제나 주일에 지켜지고, 십자가 처형은 언제나 금요일에 기념돼야 한다고 여겼다.

동방교회와 서방교회의 이러한 입장 차이는 325년 니케아총회에서 조정됐다. 이 회의에서는 양측의 주장을 다 수용한 절충안으로, 부활절은 춘분 후 만월이 지난 첫 일요일로 정하게 됐다. 따라서 부활절은 매년 3월 22일부터 4월 25일 사이에 온다

부활절 풍습

▶ 부활절 계란

계란은 죽은 것처럼 보이지만 그 안에는 새로운 생명이 계속되고 있다. 죽음의 세력을 깨뜨리고 부활하신 예수님은 바로 계란의 단단한 껍질을 깨고 태어나는 병아리에 비교할 수 있다. 부활절 계란을 아름다운 색이나 도안으로 장식하는 것은 그리스도의 부활을 기쁘게 맞으라는 의미이다

계란은 초대교회부터 기독교와 밀접한 관계에 있었다. 기독교가 공인되고 국교로 정착된 로마에는“모든 생명은 알에서부터 나온다”는 속담이 있었다. 또 예수님을 대신해 잠시 십자가를 져준 구레네 시몬의 직업이 계란장수였다는 전설도 있다. 예수님이 십자가에 달리신 뒤에 시몬이 집으로 돌아가 보니 암탉들이 낳은 계란이 모두 무지개 빛으로 변해 있었고, 이후로 교회에선 자연스럽게 계란을 부활의 상징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수난절 기간 동안 지키던 금식이나 채식을 끝내고 부활절 아침에는 고기나 계란을 먹었기 때문이란 얘기도 있다. 또 십자군 전쟁 당시 로잘린드란 부인이 당시 유럽에선 귀했던 닭을 길러 부활절에 가난한 아이들에게 선물한데서 유래했다는 말도 있다.

▶ 새 옷과 흰 옷 입기

초대교회 때부터 부활절엔 새 옷과 흰 옷을 입는 풍습이 있었다. 새 옷은 부활의 기쁨을 연상케 하고, 세례를 받고 모든 죄에서 벗어나 순결하고 거룩한 사람으로 새로 태어남을 상징한다. 또 성도들은 사순절 동안 참회와 기도로 그리스도 안에서 새 생명으로 다시 태어났기 때문에 흰 옷을 입었다. 흰 옷은 부활의 은총을 상징하고, 거룩한 생활의 외적인 고백이며 영적인 부활을 의미한다.

▶ 부활절 토끼

부활절을 뜻하는 영어 이스터(Easter)의 상징은 원래 계란이 아니라 토끼였다. 이스터 여신의 상징이 토끼였기 때문이다. 부활절 토끼는 1770년대 펜실베니아의 네덜란드인 마에 이민온 독일인들에 의해 미국에 도입됐다. 아이들은 집, 창고나 정원 등 예정된 장소에 토끼의 둥지를 만들곤 했다. 둥지를 만들기 위해서 소년들은 토끼 모자를 사용했고, 소녀들은 보닛(끈으로 턱 밑에서 매는 여자 모자)을 사용하곤 했다. 그러나 당시 미국에는 청교도 등 엄격한 기독교가 주류를 이루었기 때문에 부활절 토끼는 전혀 발붙일 수 없었다.

▶ 부활절 촛불

이 부활절 촛불은 부활절 전야에 밝혀져서 승천일까지 예배 때에 밝히는 것이었다. 이 양초는 세상의 어둠을 이기신 빛 되신 그리스도를 상징한다.

▶ 부활 백합

1882년 화초 재배인인 하리스는 대서양 서부의 영국 영토였던 버뮤다 군도에서 백합꽃을 미국으로 가져가 퍼뜨렸다. 그 꽃이 부활절에 즈음해 처음 꽃을 피우자‘부활 백합’ 으로 불리어졌다. 부활 백합은 모양과 형태가 아름답고 빛나는 흰색과 청순함, 우아함을 지녔다.

  • 도배방지 이미지

  • 2003년 남북교회 부활절 공동기도문
  • 기독교미주성결교회 전국총회
  • 이라크 구호 전도 결부 여부로 찬반 대립 양상
  • 국제뉴스
  • 말라위 교계 반독재 승전
  • ‘성 정책’ 안 먹히는 영국
  • 소망교회곽선희 목사 원로목사 추대 결의
  • 린치 일병 구출은 하나님 도움
  • 종교권리행사 지혜롭게
  • 사설 - 목적과 결과가 선해야 한다
  • 이번 전쟁의 또 다른 의미
  • 영성세미나를 통해 교회봉사
  • 미주기독교방송 신임 실행이사 8인 영입
  • 미주선교 100주년 한영설교집 출판
  • “예수는 부활했다”
  • 예수님 부활 이후 40일
  • 오늘에 새기는 부활의 의미
  • 문화로 보는 부활절
  • 내가 체험한 부활절
  • 네브라스카의 추억
  • 광고
    인터뷰 / God with us
    이동
    메인사진
    "국내 난민선교는 시대적 사명" 뉴욕 뉴하트선교교회 정민철 목사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인기기사 목록
     
    절기특집 많이 본 기사
    광고
    광고
    광고